-
나건 교수
Na, Kun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정진석추기경약학관 NP310
-
연구분야
생체재료, 약물전달시스템
-
연구키워드
광역학치료 암 치료
생체재료 (Biomaterials) 및 약물전달 시스템 (Drug delivery system)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나노 의약품을 개발하여 질병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하는 나노 의학 (Nanomedicine)을 바탕으로, 광역학 치료 (Photodynamic therapy), 항암면역치료 (Cancer immunotherapy), 유전자 치료 (genetherapy), 자기공명 영상 (MRI) 및 컴퓨터 단층촬영(CT) 조영제 개발 그리고 스텐트 (stent)를 비롯한 생체의료 기기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국내외 유수한 연구실과 공동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재까지 260여편의 논문과 70여개의 등록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2024년 3월 현재 석사과정 10명, 박사과정 13명, 박사 후 연구원 2명과 함께 생체의료용나노소재 연구실 (Nano Biomedical polymer Research lab, NBR) 을 운영하고 있으며 4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2021년 가톨릭대학교 특훈교수 (Distinguished Professor) 로 임명되었으며 현재 한국생체재료공학회(KSBM) 회장, 세계생체재료학회 총연합회 (IUSBSE)의 석학 펠로우(FBSE), 가톨릭대학교 교학부총장을 역임 하고있다.
Kun Na, a distinguished professor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s a South Korean chemist specializing in the Biomaterials and Drug Delivery Systems. His area focuses on Nanomedicine, applying various typ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These include Photodynamic therapy (PDT), Cancer immunotherapy, Gene therapy, MRI and CT contrast agent, and Biomedical device such as stent. Professor Na currently leads the Nano Biomedical polymer Research lab (NBR) with 10 master’s student, 13 doctoral students, and 2 post-doctoral researchers, totaling 25 members. As of March 2024, he has mentored more than 60 students, including 47 graduated students,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field. He has collaboratively conducted research with numerous esteemed laborator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resulting in the publication of over 260 scientific papers and hold 70 patents and patent applications with or without various excell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boratory. In 2021, he was honored as a Distinguished professor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here he also serves as Vice President. Also, he holds prestigious positions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materials and as a fellow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Societies for Biomaterials and Engineering (IUSBSE), showcasing his esteemed status in the global biomaterials community.
-
소속학과
-
이은성 교수
Eun Seong Lee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326
-
연구분야
생체의료용고분자
-
연구키워드
고분자재료 나노의약
현재 고분자 재료 및 나노의약 분야, 제약 제제 분야의 과목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생체 지능성 고분자 소재를 신규 개발하여 이를 인체질병 치료용 나노약물전달시스템에 적용하는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쪽 분야는 기존의 항암제, 단백질 약물, 유전자 등의 치료 약물들을 새로운 형태의 약물전달시스템에 융합시켜 신약 개발에 버금가는 나노의약품으로 개발하고, 이것을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와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I am currently teaching courses in the fields of polymer materials, nanomedicine,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urthermore, my research efforts are dedicated to developing cutting-edge biomimetic polymer materials for use in nano drug delivery systems designed to target human diseases. These research initiatives aim to lead the way in developing nanopharmaceuticals that surpass traditional chemotherapeutics, protein drugs, and gene therapy drugs by integrating them into innovative drug delivery systems. These endeavors are focused on developing diagnostic agents and anticancer drugs. I am unwaveringly committed to advancing these research and educational endeavors.
-
소속학과
-
최성욱 교수
CHOI SUNGWOOK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626
-
연구분야
나노/마이크로입자, 고분자, 화학 소재, 생체재료, 조직공학, 미세유체
-
연구키워드
나노/마이크로입자 고분자 화학 소재 생체재료 조직공학 미세유체
최성욱 교수는 제약, 의료, 및 바이오 산업에 활용되는 다양한 생체재료 및 고분자 소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골다공증 치료제, 항암치료 전달시스템, 3차원 프린팅, 조직공학, 재생의학, 기능성 화장품 소재, 지질나노입자, 백신용 mRNA 및 폴리펩타이드 생체분자 합성, 의약품 연속합성 공정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다수의 논문 및 특허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화학 소재, 의료기기, 제약, 및 화장품 기업과의 공동 연구를 수행하여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추진하였다. 최근에는 미세유체기술을 이용한 백신용 지질나노입자, 나노/마이크로입자, 의약품 및 생체분자 연속합성 등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Professor Sung-Wook Choi is conducting research on various biomaterials and polymer materials used in the pharmaceutical, medical, and bio industries. We have conducted research on osteoporosis treatments, anticancer treatment delivery systems, 3D printing, tissue engineering, regenerative medicine, functional cosmetics materials, lipid nanoparticles, mRNA and polypeptide biomolecule synthesis for vaccines, and continuous pharmaceutical synthesis processes, and have published numerous papers and We have patent achievements. In particular, we promoted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by conducting joint research with a number of chemical materials, medical device, pharmaceutical, and cosmetics companies. Recently, we have been focusing on research on lipid nanoparticles for vaccines, nano/micro particles, and continuous synthesis of pharmaceuticals and biomolecules using microfluidic technology.
-
소속학과
-
김한영 조교수
Kim Han Young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418
-
연구분야
첨단바이오의약품, 나노약물전달
-
연구키워드
면역재생의공학 세포외소포체 재생의학소재 세포/유전자 치료제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교수이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학사)와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박사)에서 학위를 수여했다. 면역조절형 나노/바이오 소재의 개발을 통해 조직 재생 또는 항암 치료제로서의 응용 연구를 하고 있다. 세포치료제, 엑소좀, 유전자치료제, 조직공학제제 등의 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와 다양한 나노 소재의 융합 연구를 수행하는 면역재생의공학연구실 (IRBM) 을 운영하고 있다.
-
소속학과
-
강민호 조교수
Kang Min-Ho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5
-
연구분야
바이오의료 및 에너지 소재
-
연구키워드
바이오 소재 및 센서 이차전지 소재
나노입자 합성과 반도체 공정기술을 활용하여 의료용 임플란트 및 생체모사체 제조 플랫폼 개발과 이차전지 소재 개발 연구를 수행하는 마이크로/나노 시스템 연구실(MiNs Lab)을 운영하고 있음.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들과 활발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40여편의 논문을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함. 현재 한국 생체재료학회 신진연구자위원회 활동 중임. Homepage: https://www.mins-labs.com/ E-mail: mhkang@catholic.ac.kr
We are operating a micro/nano system laboratory (MiNs Lab) that develops biomedical implant and spheroid fabrication platforms and secondary battery material using nanoparticle synthesis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technology. We are actively conducting joint research with various research institutes and companies. 40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in SCI-level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s. Currently serving on the New Researcher Committee of the Korean Society of Biomaterials. Homepage: https://www.mins-labs.com/ E-mail: mhkang@catholic.ac.kr
-
소속학과
-
윤진호 조교수
Jinho Yoon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223
-
연구분야
바이오센서/나노바이오칩/나노바이오전자소자
-
연구키워드
바이오센서/나노바이오칩/나노바이오전자소자
윤진호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교수이다.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에서 학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뉴저지 주립대학교인 럿거스 대학교 (Rutgers University)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2022년 9월부터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에서 근무 중에 있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바이오칩 개발, 전기화학 기술 기반의 고민감도 바이오센서 개발, 나노구조체 및 나노패턴제작과 응용, 오가노이드-온-어-칩, 바이오전자약 플랫폼 개발 분야이다. 미국 럿거스 대학교와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서강대학교, 전북대학교, 국민대학교 등과 공동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최근 5년간 주저자 (제1저자/교신저자)로 Advanced Materials (2023), ACS Nano (2022), Advanced Science (2024) 등을 포함하여 23편의 SCI논문을 출간 (총 33편의 SCI논문 출간) 하는 등 첨단 나노바이오공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Prof. Jinho Yoon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Biomedical-Chemical Engineering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e received his B.S and Ph.D degrees from the Department of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at Sogang University. He worked as a postdoctoral researcher at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nd has been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Biomedical-Chemical Engineering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ince September 2022.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biochip development, development of highly sensitive biosensors based on electrochemical technique, nanostructure and nanopattern production and application, organoid-on-a-chip, and bioelectronic medicine platform development. In the recent 5 years, he has published 23 SCI papers as the lead author (The first author/corresponding author), including Advanced Materials (2023), ACS Nano (2022), and Advanced Science (2024) (Total of 33 SCI papers published).
-
소속학과